한식 읽기 좋은 날

2024
165

한식 산업, 성공적인 창업과 해외 진출의 열쇠는?

그림 뉴스

2024/08/28 15:48:15
|
1373

⁠⁠⁠⁠⁠⁠⁠실태조사로 살펴본 한식산업 현주소 한식산업, 성공적인 창업과 해외 진출의 열쇠는? September 한식과의 직간접적 연계성을 고려해 더 확장되 개념으로 재분류된 한식산업 분류체계. 2023 한식산업 실태조사에서는 한식산업 중 외식산업과 제조업 분야에 대해 자세히 살펴봅니다. 각 산업별 규모부터 사업 준비과정과 운영 노하우, 해외진출 전략까지 한식진흥원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만나보세요.

K-푸드의 글로벌 인기에 국내 외식 및 식품 제조업계도 분주해졌다. 이에 발맞춰 한식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변화도 요구되는 중. 이에 한식진흥원에서는 ‘2023년 한식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해 외식산업과 제조업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했다. 한식 창업과 해외 진출을 고민하는 이들을 위해 조사 결과를 인포그래픽으로 소개한다. 

⁠⁠⁠⁠⁠⁠⁠한식산업 실태조사는 어떤 조사인가요?

Q. ‘한식산업 실태조사‘ 진행 배경과 목적은?

기존 외식산업 중심이었던 한식 정책이 종합적인 산업 육성·발전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식진흥원은 산업 규모 등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종합적인 육성 및 발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한식산업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Q. ‘한식산업 실태조사‘의 조사 기간과 대상은?

한식산업 실태조사는 1년 주기로 진행되며, 2023 한식산업 실태조사는 2023년 9월~11월 간 진행됐다. 핵심 한식산업에 포함되는 업종 및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했고, 한식 음식점 및 주점업 1,500개, 한식 제조업 1,000개를 표본으로 선정했다.

* 한식산업과 연계되는 표준산업분류 업종(세세분류 기준)은 총 42개이며, 한식 사업체는 총 512,979개로 추정

Q. ‘한식산업 실태조사‘의 조사 항목은?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의 조사 항목은 사업장 정보, 사업주 현황, 매출액 및 영업비용, 고용현황 및 인력관리, 창업 관련 현황, 사업장 영업 현황, 식재료 사용 현황, 사업장 지원 관련 현황 등이다. 한식 제조업에 대해서는 사업장 정보, 매출액 및 영업비용, 고용현황 및 인력관리, 수출관련, 원재료 사용현황, 연구개발 현황 등을 조사했다.

실태조사 포스터

한식산업 규모 한눈에 보기

한식진흥원은 변화된 한식 소비 형태를 고려해 한식인 음식 또는 식품을 직접 제조하거나 생산, 조리하는 산업인 한식 음식점업과 한식 음료점업, 한식 식료품 제조업, 한식 음료 제조업 총 네 가지 산업을 ‘핵심 한식산업’으로 정의했다.

핵심 한식산업별 사업체 규모와 매출액, 종사자 수 등을 조사한 결과 사업 규모가 가장 큰 업종은 한식 음식점업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한식 식료품 제조업, 한식 주점업, 한식 음료 제조업 순이었다. 

2023 한식산업 실태조사 한식산업 규모 한눈에 보기 사업체수 51만 2,979개소 한식음식점업 449967개소 한식음료점업 20088개소 한식식료품 제조업 41826개소 한식음료 제조업 1098개소 매출액 133조 7023억원 한식음식점업 915,344억원 한식음료점업 22,241억원 한식식료품 제조업 378,890억원 한식음료 제조업 20,548억원 종사자 수 129만 106명 한식음식점업 1,031,096명 한식음료점업 38,958명 한식식료품 제조업 211,260명 한식음료 제조업 8,792명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① 제공 메뉴 및 밑반찬 개수

핵심 산업별 사업 운영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외식산업에 해당하는 한식 음식점업과 주점업에서는 평균 9.5개의 메뉴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 중 한식의 비중은 평균 95.9%에 달했다. 한식 음식점업은 5~10개 미만의 메뉴를, 한식 주점은 15개 이상의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밑반찬 최대 준비 개수는 평균 4.4개로 조사됐는데, 보통 한식 음식점이 주점보다 더 많은 밑반찬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1. 제공 메뉴 및 밑반찬 개수 Q. 제공메뉴 개수 및 한식 비중 한식 음식점업과 주점업의 제공메뉴 개수 (BASE: 전체(n=470,055), 단위: 개) 한식음식점업 9.2개 한식주점업 14.1개 평균 9.5개 상세 응답 (BASE: 전체(n=470,055), 단위: 개) 5개 미만: 24.6/6.6 5-10개 미만: 39.5/33.5 10-15개 미만: 22.3/19.4 15개 이상: 13.6/40.5 메뉴 중 한식 비중 (BASE: 전체(n=470,055), 단위: 개) 한식음식점업 96.8% 한식주점업 75.3% 평균 95.9% Q. 밑반찬 최대 준비 개수 (BASE: 전체(n=470,055), 단위: 개) 한식음식점업 4.6개 한식 주점업 1.8개 평균 4.4개 상세응답 (BASE: 전체(n=470,055), 단위: 개) 2개 이하 22.3/70.8 3-4개 32.7/21.4 5개 이상 45.1/7.8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② 창업 자금/소요 기간/이전 경험

창업 자금의 대부분은 자기 자본(72.1%)으로 충당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금융권 대출(19.8%)과 가족/지인(6.7%), 정부 지원(1.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창업까지 소요기간은 평균 6.7개월 정도였으며, 절반 이상의 업체가 이전 창업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한식산업에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2. 창업자금/소요기간/이전경험 Q. 사업장 창업 자금 비중 자기자본 72.1% *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평균 사업장 창업 자금 비중 (BASE: 전체(n=470,055) 자기자본-가족/지인-금융권 대출-정부지원 순서 전체: 72.1/6.7/19.8/1.3 한식 음식점업: 71.9/6.7/20.1/1.3 한식주점업: 77.4/7.7/13.4/1.6 Q. 사업장 창업까지 소요기간 평균 6.7개월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평균 (BASE: 전체(n=470,055) 6개월미만-6개월~1년 미만-1년~1년 6개월 미만-1년6개월~2년미만-2년이상 순서 전체:  40.6/47.9/10.4/0.8/0.3 한식 음식점업: 40.4/47.9/10.5/0.9/0.3 한식주점업: 44.9/47.9/6.5/0.1/0.6  Q. 현사업장 개업 이전 창업 경험 현 사업장 개업 이전 창업 경험(전체) (BASE: 전체(n=470,055, 단위: %) 창업 경험 없음 59.0% 창업경험있음 41.0% *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평균(창업경험 없은 응답 각각 한식 음식점업 59.3% 한식주점업 52.8%)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③ 요리법 획득 및 관리 방법

한식 외식산업에서 요리법을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직접 개발(66.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본사 제공(19.9%), 업소용 요리법 구매(11.1%) 등이 뒤따랐다. 특히 한식 주점업의 경우 4곳 중 3곳 이상(82.2%)이 요리법을 직접 개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요리법을 개발한 사업체 중 76.7%는 구전 형태로 관리하고 있었으며, 문서화하여 관리하는 사업체는 23.3%에 불과했다.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3. 요리법 획득 및 관리 방법 Q. 요리법 획득 방법 직접 개발 66.7% *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평균 요리법 획득 방법  (BASE: 전체(n=470,055, 단위: %)  순서: 직접개발-업소용 요리법 구매-본사 제공-기타 전체: 66.7/11.1/19.9/2.3 한식음식점업: 66.0/11.2/20.4/2.3 한식주점업: 82.2/8.1/9.1/0.6 Q. 요리법 획득 방법 주요 메뉴 요리법 관리방법(전체) (BASE: 레시피 직접 개발 사업체(n=313,589), 단위:%) 주요 메뉴요리법 구전 형태로 관리한다. *한식 음식점업 및 주점업 평균 * '구전 형태로 관리' 응답 비율 한식음식점업 77.4% 한식 주점업 64.3% 문서화하여 관리 22.3% 구전형태로 관리 76.7%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① 제조 제품 및 매출 형태별 비중

한편,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에서는 평균 12.9개의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그중 90% 이상이 한식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 식료품 제조업의 경우 15개 이상 제품을 제조한다고 답한 비율이 28.2%로 가장 높은 반면, 한식 음료 제조업은 5개 미만 제품을 제조하는 사업체의 비율(58.9%)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매출 형태는 개인 소비자 대상(74.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법인 및 사업자 대상 (30.3%), 기타(2.1%) 순이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한식 식료품 제조업은 개인 소비자 대상 사업체(76.1%)가, 한식 음료 제조업은 법인 및 사업자 대상 사업체(69.0%)가 많았다.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 1. 제조 제품 및 매출 형태별 비중 Q. 제조 제품 개수 및 한식 제품 비중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의 제조 제품 개수 평균 12.9개 * 한식 식료품제조업 13개/한식 음료 제조업 8.2개 제공 메뉴 개수(BASE: 전체(n=42,924), 단위:%)  순서:전체-한식식료품제조업-한식음료제조업 5개미만: 26.2/25.4/58.9 5-10개미만:27.7/27.7/26.7 10-15개미만: 18.4/18.8/6.4 15개이상: 27.7/28.2/8.0 제품 중 한식 비중 평균 90.8% *한식 식료품제조업 90.9%/한식 음료 제조업 88.6% 한식 90.8% 기타9.2% (BASE: 전체(n=542,924), 단위:%) Q.한식제품 매출 형태별 비중 개인소비자 74.8%  한식제품 매출 형태별 비중 (BASR: 전체(n=42.924), 단위: %)  순서: 법인 및 사업자(B2B)-개인소비자(B2C)-기타 전체:30.3/74.8/2.1 한식식료품 제조업 : 29.0/76.1/2.0 기타: 69.0/26.3/5.0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② 해외 진출 관련 현황

해외 진출 관련 현황 조사에서는 해외 진출 제품이 없는 업체가 대다수(93.0%)로 나타났다. 해외 진출 제품이 있거나 향후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결과, 무역전문 인력 부족(29.3%)과 해외시장 진출 필요자금 부족(27.9%), 수출 관련 절차적 규제 부담(16.6%) 등이 해외 진출에 있어 주요 애로사항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 2. 해외 진출 관련 현황 Q. 해외 진출 여부(전체)  한식 제조업 대다수 해외 진출 제품 없음 * 한식 식료품 제조업 및 음료 제조업 평균 * '해외 진출 제춤 없음' 응답 비율 한식 식료품 제조업 93.1%, 한식 음료 제조업 88.8% 해외 진출 제품 없음 93.0% 해외 진출 제품 있음 7.0% (BASE: 전체(n=42,924), 단위:%) Q. 해외 진출 시 애로 사항(1순위) 무역 전문인력 부족 29.3% (BASE: 해외 진출 제품이 있거나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사업체(n=4,952), 단위: %, 1순위) 순서: 무역전문 인력 부족-시장정보부족-해외시장 진출 필요 자금의 부족-수출관련 절차적 규제부담-언어장볍-현지 시작 규격 및 인증 획득의 어려움-기타 전체:29.3/11.9/27.9/16.6/0.7/10.8/2.8 한식 식료품 제조업: 32.0/12.5/26.2/13.3/0.7/12.1/3.0 한식 음료 제조업: 10.3/7.4/39.6/39.9/1.4/1.4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③ 해외 진출 계획 및 준비 상태

다만,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사업체 중 절반 이상(56.4%)은 향후 1년에서 5년 이내 한식 제품의 해외 진출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업체(43.7%)는 계획은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특히 한식 음료 제조업의 경우 대다수(95.3%)가 3년 이내 해외 진출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식 제품 해외 진출 준비 상태는 자료 조사 단계(85.3%)가 가장 높았다.

이처럼 한식산업 내 외식과 제조 부문이 모두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꼼꼼한 시장 조사와 체계적인 사업 준비, 그리고 해외 진출 전략 수립이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식 식음료품 제조업 3. 해외 진출 계획 및 준비 상태 Q. 향후 한식 제품의 해외 진출 계획 향후 5년 이내 해외 진출 계획이 있다. 56.4% *한식 식료품 제조업 및 음료 제조업 평균 (BASE: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사업체(n-1,954), 단위: %) 순서: 1년 이내-3년이내-5년이내-계획은 있으나 구체적이지 않음 전체: 7.9/43.3/5.2/43.7 한식식료품 제조업: 10.0/25.9/6.9/57.2 한식 음료 제조업: 1.7/95.3/0/3.0 Q.한식 제품 해외 진출 준비 상태 자료조사단계 85.3%  * 한식 식료품 제조업 및 음료 제조업 평균 (BASE: 해외 진출 의향이 있는 사업체(n=1,954), 단위: %) 순서: 자료조사단계-거래처 발굴 단계-계약추진 단계-마케팅 추진 단계 전체: 85.3/9.5/2.0/3.2 한식 식료품 제조업 : 82.7/11.6/2.3/3.4 한식 음료제조업: 93.4/3.2/0.8/2.6 * 자료: KOSIS 국가통계포털 2023 한식산업실태조사

업무담당자
  • 담당부서: 디지털콘텐츠팀
  • 담당자: 신란희 02-6320-8433

번역 확장 프로그램 설치 안내

  • 1.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 2. Chrome 웹 스토어 접속

    Chrome 웹 스토어 접속

    Chrome 웹 스토어 접속

  • 3. 파파고 검색

    Chrome 웹스토어 파파고 검색

    Chrome 웹스토어 파파고 검색

  • 4. 확장프로그램

    확장 프로그램 -> 파파고 번역

    확장 프로그램 -> 파파고 번역

  • 5.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 6. 번역 하기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