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읽기 좋은 날

2023
81

세계로 퍼져나가는 한식의 세계

해외 한식 톡파원

2023/06/30 09:40:00
|
583

미국에서는 한식 셰프가 요식업계의 오스카 상이라는 '제임스 비어드 상'을 수상하고, 유럽의 시장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마켓'이라 불리는 영국의 옥스퍼드 영어사전에는 '치맥(chimaek)'이 추가됐다. 베트남에서는 K푸드를 넘어 'K배달문화'까지 인기를 얻고 있다. 세계로 퍼져나가며 나날이 높아지는 한식과 한류의 위상을 보여주는 세계 각국의 이야기를 전한다. 

참고자료 KOTRA 해외시장뉴스, 조선일보 기사 <'요식업계 오스카상' 받은 뉴욕 한인 셰프의 승부수는>, 시사저널 기사 <[런던 현장 르포] 유럽 '테스트 마켓' 영국을 사로잡은 K푸드 열풍의 비밀>, 매일경제 기사 <판 커지는 베트남 배달음식…K푸드 인기에 K배달도 약진>

한식 셰프가 요식업계 최고상 수상한 미국 소식

미국 요식업계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제임스 비어드상'의 2023년도 수상자에 한인 셰프가 이름을 올렸다. 바로, 미국 뉴욕에서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아토믹스'를 운영하고 있는 박정현 셰프다. 제임스 비어드상은 미국 요리사 겸 요리연구가 제임스 비어드를 기리기 위해 제정돼, 매년 미국 음식 문화의 다양화에 기여한 미국 전역의 2만여 개 식당과 소속 요리사를 대상으로 여러 부문에 걸쳐 수상자를 선정한다. 미국 요식업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이번 수상은 높아진 한식과 한식당의 위상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박정현 셰프가 운영하고 있는 '아토믹스(Atomix)'는 10가지 코스 메뉴를 통해 미각적으로 훌륭한 한식의 맛뿐 아니라, 한국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한국 디자이너들과 협업한 식기, 종업원들이 입는 한국적 디자인의 유니폼, 한국어 발음을 그대로 표기한 메뉴 카드 등 레스토랑 전반에 한국 문화를 녹여내기 위해 섬세한 노력을 기울였다. 박정현 셰프는 한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성장하면서 익숙했던 발효 음식, 제철 음식, 식재료 등에 대해 균형을 잡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고 전했다.

한국 식료품이 다양해지고 있는 스위스 슈퍼마켓

스위스 대형 슈퍼마켓에 진열된 한국 식료품들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스위스 최대 슈퍼마켓 체인의 웹사이트에서는 한국산 식료품으로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한식 레시피까지 소개하고 있다. 아시아 식료품 전문점이 아닌 일반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들에서 한국 식품 포트폴리오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실제로 스위스의 한국 식료품 수입액은 해마다 증가해 2018년 485만 달러이던 수입액이 2022년에는 14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스위스 현지 언론에서도 한식의 인기를 다룬 보도가 증가했다. 스위스의 공영 매체에서는 '서울 광장시장-세계 최고의 길거리 음식'이라는 기사를 통해 빈대떡, 간장 게장, 만두 등 폭넓은 한식 메뉴를 소개하기도 했다. 김치나 비빔밥과 같이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식을 넘어 다양한 길거리 음식들도 소개되기 시작한 것.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한국 문화 콘텐츠의 인기가 있다. 유럽 전역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영화, 음악 등 한국 문화 콘텐츠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한식이 유럽에서 트렌디한 식문화로 자리 잡은 것이다. 

한식 인지도가 급성장하고 있는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자국 식재료와 음식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나라지만, 절대 다른 나라의 음식에 닫혀있지 않다. 오히려 세상의 다양한 음식에 대해서 호기심이 많고, 기꺼이 시도해보려 하는 나라다. 이탈리아 거리를 거닐다 보면 다양한 아시아 음식점도 쉽게 만날 수 있다. 한식은 기존에 이탈리아에서 일식과 중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아시아 음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탈리아 내에서 한식에 대한 인지도가 급상승하고 있다.

지난 2021년, 로마의 한 카페는 <오징어 게임>의 인기를 타고 유행했던 달고나 커피를 한국의 유명 아이돌의 이름을 붙여 판매하기도 했다. 올해 초 이탈리아 잡지 <Donna Moderna>는 한식의 매력과 건강함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이탈리아의 외식 트렌드 가운데 한식이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 사이 이탈리아의 대표 대형마트에서는 김치, 김, 라면 등 다양한 한국 식재료가 판매되기 시작했고, 한식 요리를 직접 시도하는 현지인도 많아졌다. 이탈리아 현지 기사에 따르면, 주말 외식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던 무한리필 스시집 방문이 한식당으로 옮겨지는 추세라고 한다. 한식이 갖고 있는 건강한 이미지나 서양 디저트 대비 낮은 칼로리를 가진 팥 등을 활용한 한국 전통 디저트는 최근 건강 관리에 관심 있는 이탈리아 젊은 세대의 니즈에 잘 부합해 잠재력이 크다. K콘텐츠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지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해 이탈리아 내 한식 시장을 넓혀갈 중요한 시기로 보여진다.

유럽의 테스트 마켓, 영국에 통한 한식

영국 외각 한인타운에 가야만 제대로 된 한식을 먹을 수 있었던 예전과 달리, 이제는 영국 중심가에서도 한식당에 줄이 길게 늘어져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2021년,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한국 음식을 상징하는 반찬, 먹방, 불고기, 동치미, 갈비, 잡채, 김밥, 삼겹살, 치맥 등의 단어가 새롭게 추가될 만큼 영국 내 한식 인기가 뜨겁다. 

이러한 한식 열풍의 배경에는 넷플릭스 히트작 <오징어 게임>과 유튜버 '영국남자'가 있다. 영국의 대형마트 '막스앤스펜서'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 방영 이후 고추장과 한국식 'BBQ 장' 등 한국 식자재 판매율이 200% 이상 증가했다. 한국 음식에 대한 유튜브 조회수가 급증했고, 한국식 갈비, 한국식 치킨, 한국식 볶음밥에 대한 검색량도 증가했다. 세계적으로 한류 열풍이 불기 전부터 영국인들에게 한국 음식을 소개해왔던 유튜버 '영국남자'가 끼친 영향도 상당하다. 560만 구독자의 대형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는 2013년 채널 개설 이후 꾸준히 한국 음식을 소개해왔다. 2014년 영국남자가 게시한 불닭볶음면 챌린지 영상은 조회 수 1800만 회를 돌파해 크게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콘텐츠와 SNS채널의 영향으로 시작된 영국 내 한식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인 유동인구를 가져 '유럽으로 가는 테스트 마켓'이라는 별명을 가진 영국 시장에서의 성공이 유럽 시장에서의 한식 입지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배달음식 시장 성장한 베트남, K배달문화 인기

베트남은 K드라마와 K팝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다. 그만큼 식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한국 문화가 정착돼 있다. 최근 베트남에서는 K푸드를 넘어 한국식 배달주문 서비스를 현지에 그대로 옮긴 'K배달문화'까지 인기를 얻고 있다. 일상적으로 한국 음식을 시켜먹는 것은 물론, 한국 배달주문앱으로 장보기, 네일아트 등을 하는 젊은 세대가 늘고 있는 것.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모멘텀웍스에 따르면, 한국의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베트남 현지 배달주문앱 '배민(BAEMIN)'은 지난해 시장 점유율 12%를 기록하며, 베트남 그랩(45%), 싱가포르 쇼피푸드(41%)에 이어 업계 3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한국 특유의 빠른 고객 서비스가 배민의 빠른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며, 베트남 진출 4년 만에 고무적인 성과를 냈다. 베트남 현지의 한국인 관광객을 타깃으로 해 한식에 특화한 한국 업체 딜리버리케이의 '배달K'도 입소문을 타면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배달K는 음식 종류별로 카테고리로 나눠 앱을 이용하는 한국인들의 편의성을 높였고, 한국의 식료품이나 마사지, 네일 출장 주문도 가능하다. 이처럼 한국 음식을 넘어 한식을 소비하는 문화까지 인기를 얻고 있는 모습은 한류의 위상을 체감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척도가 되고 있다.

K커피, 커피 인기 높아진 중국을 공략할 때

최근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는 커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커피 문화가 대중화 되어가면서, 인스턴트 커피 시장 또한 함께 성장 중이다. 한국무역협회 무역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중국의 인스턴트 커피 수입액은 1억 8540달러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한국 커피 수입액 또한 최근 5년간 꾸준히 성장해 2022년에는 전년 대비 22.4% 성장한 280만 달러를 기록, 중국의 인스턴트 커피 주요 수입 국 중 한국이 10위를 차지했다.

중국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국의 커피 시장도 지속 성장될 것으로 예상되고있다. 일명 'K-커피믹스'로 불리는 한국의 인스턴트 스틱 커피가 파고들기 좋은 타이밍이다. 해마다 카페쇼가 열릴 정도로 커피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한국의 K-커피믹스는 그 맛과 편의성으로 중국 시장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다만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의 커피에 대한 선호도 또한 빠르게 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중국 현지 소비자들의 취향에 대한 꾸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업무담당자
  • 담당부서:
  • 담당자:

번역 확장 프로그램 설치 안내

  • 1.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구글에서 웹스토어 검색

  • 2. Chrome 웹 스토어 접속

    Chrome 웹 스토어 접속

    Chrome 웹 스토어 접속

  • 3. 파파고 검색

    Chrome 웹스토어 파파고 검색

    Chrome 웹스토어 파파고 검색

  • 4. 확장프로그램

    확장 프로그램 -> 파파고 번역

    확장 프로그램 -> 파파고 번역

  • 5.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파파고 번역 Chrome 추가 확장 추가

  • 6. 번역 하기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번역 대상 드레그 후 파파고 아이콘 클릭

×